기사 출처: http://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9878 

 

데이터 라벨러 10명 중 4명 "부업 아닌 본업"…비대면 시대 새로운 직업군으로 주목 - AI타임스

#1 A씨는 최근 3년째 다니던 회사를 그만뒀다. AI 학습용 데이터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이터 라벨러 활동 시간을 늘리기 위해서다. 1년 전 우연한 기회로 시작하게 된 라벨링이 이제는 부업에서 전

www.aitimes.com

 

 


 

@Nitish Singla

Ai타임스의 기사들을 읽던 중 약 한 달 전에 유형동 기자님이 올린 글을 보게 되었다.

"데이터 라벨러 10명 중 4명 "부업 아닌 본업"…비대면 시대 새로운 직업군으로 주목" 이라는 제목은 확연히 눈을 끌었다. 

데이터 라벨러라는 직업에 대해서 사실 그동안 별로 생각이 없었다. 그런데 이 기사의 제목을 보고 생각해보니 결국 데이터 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결국 데이터를 라벨링 하는 작업이 사람의 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당연히 이러한 일을 AI 개발자들이 할 것이라 생각했으나, 생각해보니 이러한 노가다 작업을 하는 담당자는 확실히 별도로 있을 것이라는 사실을 간과하였다.

 

기사에 따르면, "다양한 데이터에 인공지능(AI)이 이해할 수 있는 이름을 붙이는 '데이터 라벨러'가 최근 새로운 직업군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고 한다. 원래는 데이터 라벨러를 부업으로 삼으면서 지냈던 사람들이 점점 전문 라벨러의 몸값이 높아지면서 부업이 아닌 본업으로 삼고 있다는 것이다.

 

AI 관련 시장이 성장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데이터 라벨링의 시장이 급격히 성장으로 하며, 데이터 가공업체도 늘어나고 있다. 기사에서는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2025년 약 4조 3,100억 원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했다고 한다. 

 

생각을 해보면 국내에서 급격하게 이렇게 데이터 라벨링의 시장의 성장세에 속도가 붙는 이유는 국가차원으로 현재 AI와 데이터 산업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분석된다. 정부의 "디지털 뉴딜" 정책에 의해서 결국 마이너한 산업과 직업들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직업군의 대표적인 예시로 떠오를 수 있겠다.

 

이러한 기사를 보면 정보가 힘이라는 것이 확실히 느껴진다. 먼저 세상의 흐름과 변화를 읽어내는 사람은 데이터 라벨이라는 영역에 대해서 빠르게 발을 담궜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이렇게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 항상 변화에 깨어있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 Recent posts